하네다공항의 역사
- 건설 중인 터미널(S29)
- 개관 당시의 국제선 메인 로비(S30)
- 개관 당시의 하네다공항 터미널 전경(S30)
- 터미널 본관(S38)
- 국제선 도착 터미널(S45)
- 잠정 국제선 여객 터미널
- 신B활주로 완성, 공용 개시(2000. 3)
- 오기 국토교통대신이 출석한 하네다 국제 전세편 운항 개시 식전을 거행(2001. 2)
- 하네다공항 연간 국내선 여객 6,000만명 달성(2002. 12)
- 이시하라 국토교통대신이 출석한 하네다·김포(서울) 전세편 운항 개시 식전을 거행(2003. 11)
- 제2여객 터미널 개관(2004. 12)
- 현재의 제1여객 터미널
- P4 본격 입체 주차장(2010. 8)
- 제2여객 터미널 본관 남쪽 확장 부분(2010. 10)
- 신국제선 여객 터미널 개관(2010. 10)
- 제1여객 터미널 출발 구역·옥상 구역 리뉴얼(2011. 11)
- 제2여객 터미널 남쪽 피아 3 스포트 증설(2010. 4)
1955년 | 5월 | 하네다공항 터미널 개관, 공용 개시 |
---|---|---|
1962년 | 8월 | 일본 국산 여객기 YS-11이 첫 비행 |
1963년 | 7월 | 하네다공항 터미널 본관 증개축 공사 중 국제선 부분이 공용 개시 |
1964년 | 4월 | 일본인의 해외 도항 자유화 |
8월 | 수도고속도로 1호선(하네다선)이 개통 | |
9월 | 하네다공항 국내선 도착 전용 터미널이 공용 개시 | |
9월 | 하마마쓰초~하네다공항 간의 도쿄 모노레일이 개통 | |
10월 | 도카이도 신칸센이 영업 개시 | |
10월 | 도쿄 올림픽 대회 개최 | |
1969년 | 2월 | 점보 여객기 B-747기가 첫 비행 |
3월 |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가 첫 비행 | |
7월 | 아폴로 11호가 인류 첫 월면 착륙에 성공 | |
1970년 | 3월 | 일본 만국 박람회가 오사카에서 개최 |
6월 | 하네다공항 신국제선 도착 터미널이 공용 개시 | |
1972년 | 5월 | 오키나와 시정권 반환 |
9월 | 중일국교 정상화 | |
1978년 | 5월 | 나리타국제공항 개항 |
5월 | 하네다공항 국제선 항공 회사(차이나에어라인 제외)가 나리타로 이전 | |
7월 | 하네다공항 국내선 전용 공사 준공 | |
1988년 | 4월 | 하네다공항 터미널 재정비 공사 준공 |
7월 | 하네다공항 신A활주로 공용 개시 | |
1992년 | 12월 | 나리타국제공항 제2여객 터미널 공용 개시 |
1993년 | 9월 | 하네다공항 제1여객 터미널 공용 개시 |
1994년 | 9월 | 간사이국제공항 개항 |
1996년 | 1월 | 하네다공항 제1여객 터미널 이용 여객수가 통산 1억명 달성 |
1997년 | 3월 | 하네다공항 신C활주로 공용 개시 |
10월 | 하네다공항 보딩 스테이션 공용 개시 | |
1998년 | 3월 | 하네다공항 잠정 국제선 여객 터미널 공용 개시 |
11월 | 게이힌큐코 공항선이 연신되어 제1여객 터미널에 직접 노선 연장 개시 | |
12월 | 하네다공항 국내선 여객수가 연간 5,000만명 달성 | |
2000년 | 3월 | 하네다공항 신B활주로 공용 개시 |
2001년 | 2월 | 하네다공항 국제 여객 전세편 운항 개시 |
9월 | 미국 동시 다발 테러 사건 발생 | |
2002년 | 4월 | 차이나에어라인과 에버항공의 나리타 이전에 수반되어 하네다공항 국제 정기편이 종료 |
4월 | 하네다공항 잠정 국제선 여객 터미널⇔제1여객 터미널 간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 개시 | |
5월 | 하네다공항 잠정 국제선 여객 터미널 증개축 공사 준공 | |
5월 | 한일 공동개최 축구·월드컵 개막 | |
12월 | 하네다공항 국내선 여객수가 연간 6,000만명 달성 | |
2003년 | 8월 | 공항 안내 담당자 배치 |
9월 | 하네다공항 제1여객 터미널 개관 10주년 | |
11월 | 하네다와 서울(김포)을 연결하는 국제 여객 전세편 운항 개시 | |
2004년 | 12월 | 하네다공항 제2여객 터미널 공용 개시 |
12월 | 하네다공항 제1여객 터미널 리뉴얼 공사 개시 | |
2005년 | 2월 | 주부국제공항 개항 |
5월 | 하네다공항 터미널 개관 50주년 | |
7월 | 런던 동시 다발 테러 사건 발생 | |
2006년 | 6월 | 도쿄국제공항 국제선 구역 여객 터미널 빌딩 등 정비·운영 사업과 관련된 특별 목적 회사 “도쿄국제공항터미널 주식회사”가 설립 |
12월 | 방일 한국인 여행자가 연간 200만명 달성 | |
2007년 | 2월 | 하네다공항 제2여객 터미널 남쪽 피아 공용 개시 |
9월 | 하네다와 상하이(훙차오)를 연결하는 국제 여객 전세편 운항 개시 | |
12월 | P4 간이 입체 주차장 공용 개시 | |
2008년 | 4월 | 하네다와 홍콩을 연결하는 국제 여객 전세편 운행 개시 |
7월 | 신국제선 여객 터미널 증개축 공사 착수 | |
12월 | 하네다 제2여객 터미널 본관 남쪽 확장 부분 착공 | |
2009년 | 3월 | P4 주차장 본격 입체화 기타 공사 착수 |
10월 | 하네다⇔북경 국제 여객 전세편 취항 | |
2010년 | 8월 | P4 본격 입체 주차장 공용 개시 |
8월 | 신국제선 여객 터미널 준공 | |
8월 | 하네다 제2여객 터미널 본관 남쪽 확장 부분 준공 | |
10월 | 하네다 제2여객 터미널 본관 남쪽 확장 부분 공용 개시 | |
10월 | 신국제선 여객 터미널 공용 개시 | |
2011년 | 11월 | 하네다 제1여객 터미널 출발 구역·옥상 구역 리뉴얼 |
2013년 | 4월 | 하네다 제2여객 터미널 남쪽 피아 3 스포트 증설 |
하네다공항은 1952년에 미국으로부터 반환되어 일본 하늘의 현관으로서 재발족했지만 전후의 재정 궁핍으로 국가 예산에는 유도로 및 에이프런 포장 비용만 책정되었습니다.
이러한 상황 아래 정부는 민간자본에 의한 터미널 건설을 결정(내각 양해 사항), 재계 주요 기업의 협력으로 1953년에 일본공항빌딩 주식회사가 설립되어 1955년 5월에 터미널 공용을 시작했습니다.